제주 알프스 영주산

제주 알프스 영주산

날씨가 그리 좋지 않은 겨울날 산책을 할겸 제주 알프스 영주산엘 다녀왔습니다.

영주산은 성읍에 위치한 30분정도만 하면 정상까지 올라갈수 있는 오름이며, 제주 독채 민박 로만토피아에서 차로 15분 정도면 도착할 수 있는 곳이라서 저희가 자주 가는 곳 중의 한곳입니다.

성읍 포니 알프스 승마장 바로 옆에 영주산이라는 돌 표석이 있습니다.

표석을 따라 들어가면 갈림길에서 좌측은 성읍 공동묘지로 가는 길이라는 안내표지판이 있는데 반대쪽인 우측으로 가셔야 합니다.
우측으로 영주산 입구라는 표지판은 표시 되어 있지 않습니다.

글 하단 지도 표시 한 부분을 참고 해주세요.

여기가 영주산 등산로 입구입니다.

입구에서는 항상 큰목소리로 맞이해주는 아가씨가 있습니다.
“산불지킴이입니다”로 시작하는 안내멘트가 들릴수 있으니 놀라지 마세요.
감지기능이 있어 사람이 들어갈때나 나올때 항상 흘러 나옵니다.

입구를 들어가면 오른쪽으로 근사한 데크 계단이 나옵니다만 이쪽으로 가지 마시고 정면을 향해 멍석이 깔려 있는데 이쪽으로 주욱 직진 하셔서 올라가면 되겠습니다.

이 데크가 위에 언급한 데크길입니다. 이길로 가다가 중간에 끊기고 결국 멍석이 안내 하는 길로 돌아와야 합니다.

입구에서 보이는 정면쪽으로 주욱 올라가시면 되겠습니다.

멍석길을 따라 올라가다 보니 돌부처 같이 보이는 무언가가 있었는데 가까이 가서 보니 돌을 세워 놓았더군요.
제 눈에는 돌부처 같아 보였으니 제가 부처의 마음이 되어 가는걸까요? 아니면 제속에 부처가 있는걸까요?

오늘은 날씨가 흐려서 쾌청한 풍경은 아니지만 그래도 멋있는 풍경입니다.

드디어 영주산의 백미 계단이 나왔네요.

볼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레드제플린이 여기서 stairway to heaven을 만들지 않았을까 하는 말도 안되는 상상을 해볼 정도로 멋있습니다.

영주산의 백미는 바로 이 계단입니다. 그런데 해가 갈수록 데크 나무가 삐걱 거리고 민트 색상이 바래져 가네요.

언젠가는 보수가 될텐데 그때가 되어서도 인위적인 느낌을 배제하고 낡으면서도 자연스러운 느낌을 고수 했으면 좋겠습니다.

2015년도의 사진과 비교해보면 색이 많이 바랬다는걸 확연히 알수 있습니다.

계단이 끝나는 곳까지 올라가면 능선을 따라 정상까지 도달하게 됩니다.

오늘은 계단 끝까지만 갔다가 내려왔습니다. 북쪽에서 부는 바람이 장난이 아니었거든요.

성읍에 근처에 들리면 영주산 제주 알프스 한번 가보세요.
산책삼아 올라가기 좋은 곳입니다.

영주산 위치


등산하고 내려오셔서 출출하다면 성읍 옛날 팥죽 추천드려요.

팥칼국수와 새알 팥죽과 장터국밥 호박죽 등의 메뉴가 있는데 간단히 한끼 드시기에는 좋은 곳입니다.

성읍민속마을에 위치한 단팥죽과 시락국밥 맛집 옛날팥죽 이효리 단골

삼달리 평생 다랑쉬오름만 찍었던 사진작가 김영갑 갤러리 두모악

김영갑 갤러리 는 저희가 즐겨 찾는 곳중의 하나로서 가시리에서 성읍을 지나 삼달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김영갑 갤러리는 사진작가 김영갑씨의 작품들을 전시하는 전시 공간입니다.

제주에 정착해서 제주의 오름들 특히 용눈이 오름을 무겁고 큰 카메라로 아름다운 풍광을 담기 위해 시도 때도 없이 찍으러 다니면서 귀하게 건진 작품들이라고 합니다.
사진을 잘 몰라도 사진 한장을 찍기 위해 얼마나 많이 올라갔을 것이며 얼마나 기다렸을지 가히 짐작이 되는 작품들이 전시 되어 있습니다.

 

김영갑 갤러리 무인카페

제주도의 조용한 곳을 좋아한다면 김영갑 갤러리에 들러 작품을 둘러 보시고, 갤러리 뒷편에 있는 무인찻집에서 차도 즐기시고, 무엇보다도 아름다운 정원에서 시간을 많이 보내다 가시면 좋은 추억이 될듯 합니다.

뒷편에 있는 무인찻집입니다.

네스카페 캡슐커피, 혹은 티백 티를 마실수 있습니다. 커피는 한잔에 3,000원

 

뒷쪽 무인카페 옆 산책길입니다. 장독들이 놓여져 있는 장독대가 있고, 동백나무도 있습니다.

조용하고 잘 가꾸어 놓은 정원이라 평온한 시간을 보낼수 있는 장소라서 저희는 자주 가곤 한답니다.

대략 9시30분에서 18시까지 여니깐 10시부터 5시정도까지 입장하시어 둘러 보시면 되겠습니다.

관람료가 4,500원이 있지만 너무 아름다운 곳이라 충분히 볼 만한 가치는 있다 생각됩니다.

 

주소: 서귀포시 성산읍 삼달로 137
전화번호 : 064 784 9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