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맨발걷기 좋은 곳 추천, 표선면 오름의 여왕 따라비오름

가까운 곳에 위치해서 자주 가는 오름, 표선 따라비오름에 맨발로 처음 올라가봤습니다.

따라비 오름은 표선면에 있고, 주차장에서 걸어서 올라가는 시간은 30분 정도. 왕복으로 1시간이면 충분히 올라갔다 내려올수 있는 오름입니다.

정상에는 다른 오름과 달리 3개의 분화구가 있고, 분화구 주변 능선으로 돌수가 있어 올라가서 정상 주변을 계속 걸을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주차장에서 올라가는 길이고 흙길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저기 보이는 오름이 따라비 오름입니다.

따라비 둘레길로 표시 된 곳으로 가면 맨발걷기에 좋은 길이 나오고 반대편으로 가면 나무로 만든 계단길이 나옵니다.

오른쪽으로 올라가서 왼쪽으로 내려옵니다

​​예전에 깔아놓은 야자매트가 다 헤어져 있네요

​이런 순탄한 길을 따라가다가

정상을 향해 올라가는 길입니다. 여기도 3년전 쯤 야자매트를 깔아놨었는데 다 닳아버렸네요

올라가다가 내려다 본 모습입니다. 10분정도면 올라갑니다.

다 올라왔습니다. 저 멀리 왼편에 가장 높아 보이는 곳이 깃발이 꽂힌 정상입니다.

돌도 없고 맨발걷기 하기에 좋은 길이네요.

저기 깃발과 평상이 있는 정상이 보이네요.

정상에서 바라본 모습입니다. 가까운곳은 가시리, 저 멀리는 표선면입니다.

정상에서 내려가겠습니다.

저 멀리 가시리 풍력발전단지가 보이고

한라산도 어슴프레 보이네요

나무계단으로 되어 있습니다.

멀티테스터기 가져와서 한번 재보고 싶네요.

다 내려와서 주차장으로 가는 길입니다.

주차장 가기전 억새밭입니다. 겨울이 되니 억새는 다 베어 버렸습니다.

표선면에 가면 표선 해비치 해변이 있는데 거기도 맨발걷기 좋은 곳입니다.

오늘 하루도 활기찬 맨발걷기 하세요. ^_^

로만토피아 블로그 바로가기 https://m.blog.naver.com/oreummemory/222969888139

2022 곶자왈생물종탐사 (구:바이오블리츠)


어떻게 알게 된건지 기억은 잘 안나지만, 교래 자연휴양림에서 하루동안 곶자왈 생물종 탐사를 하며 전문가들로 부터 설명을 들을수 있는 귀중한 시간을 가질수 있다고 해서 얼마전 신청을 했었다.

다섯가지 류에 관한 탐사를 오전 오후 한류씩 신청을 해서 듣는거 였는데 우리는 오전: 버섯류 오후: 식물류 를 신청했다

나머지 세가지 류는 곤충, 조류, 지의류

아침 9시에 교래 자연 휴양림 행사장인 야외 공연장으로 입장

개막식을 하는 행사장. 미리 사이즈를 정해 놓은 티셔츠와 볼펜 수첩을 나눠주었다.

오전 버섯류 탐사

버스를 타고 이동하여, 인근 생태 학습장에서 버섯을 발견하고 무슨 버섯인지 알아 보는 시간을 가졌다.

애는 목이버섯 나무에 난 귀 같이 생겨서 목이라는 이름

탕수육에도 들어가고 흔히 먹는 버섯중의 하나인데, 박사님 말씀이 야생의 버섯은 따서 먹으면 안된다는 결론.

워낙에 버섯은 종류가 많고, 같은 버섯도 식용버섯과 독버섯이 비슷하게 생길수도 있어서 구분이 잘 안간다.

그리고 식용버섯도 세균이 엄청 많으며, 뒤에 난 구멍에 버섯파리가 알을 낳아서 벌레도 많다고 함.

버섯은 마트에서 사먹는걸로…

오전 버섯 탐사 끝. 점심을 각자 해결하고 오후에는 식물 탐사

교래 자연 휴양림 내 생태 관찰로 인가를 한바퀴 돌면서 뭐가 있는지 알아 보는 시간.

산딸나무, 으름덩굴, 쪽동백, 나도밤나무, 관중, 나도히초미, 일색고사리, 등수국, 개다래…. 뭐 잔뜩 알아들었는데, 듣고 나니 다 까먹어 버렸다…

식물탐사가 끝나고 세밀화를 그리는 시간

고로쇠 잎

등수국 잎

정빈이가 그린 그림이 인기투표에서 제일 표를 많이 받아서 작은 선물을 받았음

곶자왈이 그냥 있는건 줄 알았는데, 곶자왈공유화재단이라는 곳에서 곶자왈을 보호 하기 위해 매입을 해왔다고 한다. 그래서 곶자왈을 공유화를 시켜 누구도 개발을 하지 못하게 하고 후손에게 그대로 물려줄수 있게끔 보존을 하고 있다고 하니, 참 잘하는 일이라 생각된다.

옛날에 비해 개발로 제주도의 곶자왈이 많이 사라져서 안타까웠는데, 지금이라도 남아 있는 곶자왈을 잘 보전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무튼 여러가지로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제주교래자연휴양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남조로 2023 교래자연휴양림